조선어 철자법


 제 45항. 단어는 각각 띄여 쓰되 토는 웃말에 붙이여 쓴다.
  례: 우리는 자기의 언어와 자기의 조국을 사랑한다.

 제 46항. 어근에 직접, 또는 어근 다음에 토 ≪아, 어, 여≫가 들어 가고 ≪하다≫가 붙은 것은 띄여 쓰지 않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갑―   ―을―
    건설하다  건설 하다
    공부하다  공부 하다
    반듯하다  반듯 하다
    부지런하다 부지런 하다
    사랑하다  사랑 하다
    슬퍼하다  슬퍼 하다
    좋아하다  좋아 하다
    착하다   착 하다
    튼튼하다  튼튼 하다
    일하다   일 하다
 그러나 어근 다음에 ≪아, 어, 여≫ 이외의 토가 들어 갈 때에는 띄여 쓴다.
  례: 건설을 하다
    공부를 하다
    반듯은 하다
    부지런도 하다
    슬퍼도 하다
    좋아도 하다
    튼튼도 하다
    일을 하다

 제 47항. 어근에 직접 ≪되다≫, ≪시키다≫가 붙은 것은 띄여 쓰지 않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갑―    ―을―
    공부되다   공부 되다
    운동되다   운동 되다
    일되다    일 되다
    공부시키다  공부 시키다
    운동시키다  운동 시키다
    일시키다   일 시키다
 그러나 어근 다음에 토가 들어 갈 때에는 띄여 쓴다.
  례: 공부가 되다
    운동도 되다
    일이 되다
    공부를 시키다
    운동도 시키다
    일을 시키다

 제 48항. 어근에 직접, 또는 어근 다음에 토 ≪아, 어, 여≫가 들어 가고 ≪지다≫가 붙은 것은 띄여 쓰지 않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갑―    ―을―
    건방지다   건방 지다
    그늘지다   그늘 지다
    기름지다   기름 지다
    넘어지다   넘어 지다
    눈물지다   눈물 지다
    늘어지다   늘어 지다
    모지다    모 지다
    추워지다   추워 지다
    풀어지다   풀어 지다
    떨어지다   떨어 지다
    엎어지다   엎어 지다
    의지다    의 지다
 그러나 어근 다음에 ≪아, 어, 여≫ 이외의 토가 들어 갈 때에는 띄여 쓴다.
  례: 그늘이 지다
    기름이 지다
    눈물이 지다
    해가 지다

 제 49항. ≪아니하다≫, ≪못하다≫는 앞에 ≪…지≫가 있는 경우에는 붙이여 쓰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띄여 쓴다.
  례: 1) 붙이여 쓰는 경우.
     놀지를 아니한다.
     눈이 밝지 못하다.
     책을 읽지 아니한다.
     앉지를 못한다.
    2) 띄여 쓰는 경우.
     그 동무는 일을 아니 한다.
     그래도 운동이야 못 하리.
     그 사람은 노래도 못 한다.

 제 50항. 의성-의태어에서 반복되는 두 개의 어근은 띄여 쓰지 않는다.
  례: 너울너울   둥실둥실   번쩍번쩍   슬적슬적
    허비적허비적 꿈지럭꿈지럭 땡땡     뾰족뾰족
    어슬렁어슬렁 올공올공

 제 51항. 여러 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는 단어마다 띄여 쓴다.
  례: 로동 신문
    삼국 유사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제일 인민 학교
    평양 사법 대학

 제 52항. 다음과 같은 고유 명사는 띄여 쓰지 않는다.
  례: 금강산  우랄산 금강  돈강   부전호  바이칼호
    황해   지중해 강원도 함경북도 제주도  대동군
    순안읍  성내리

 제 53항. 사람의 성과 이름은 띄여 쓴다.
  례: 김 일성  김 책  리 순신  을지 문덕

 제 54항. 년월일은 해와 날을 각각 단위로 하여 띄여 쓴다.
  례: 1945년 8월 15일
    1950년 6월 25일

 제 55항. 한'자어 기원의 단어들에서 다음과 같이 접두사 또는 접미사로 인정되는 것은 띄여 쓰지 않는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갑―    ―을―
   1) 각급     각 급
     경공업    경 공업
     무책임    무 책임
     매개     매 개
     반과학적   반 과학적
     비인간적   비 인간적
     중공업    중 공업
     총공격    총 공격
   2) 과학원    과학 원
     맑스주의   맑스 주의
     민주주의   민주 주의
     사무국    사무 국
     전기화    전기 화
     조선어    조선 어
     연구소    연구 소
 그러나 다음과 같이 관형사로 인정되는 것은 띄여 쓰고, 접미사에 준한다고 인정되는 것은 붙이여 쓴다.
  례: (갑을 취하고 을을 버린다)
     ―갑―    ―을―
   1) 각 대학    각 대학
     매 공장    매공장
     전 인민적   전인민적
     제 문제    제문제
   2) 공산당    공산 당
     금일중    금일 중
     량국간    량국 간
     력사상    력사 상
 

 제 55항. 문장에 쓰는 부호는 대략 다음과 같이 정한다.
 1. .――문장이 끝남을 보일 때 또는 략자 략어임을 보일 때 쓴다.
 2. 두점:――한 문장이 대체로 끝나면서, 뒤에 오는 문장이 앞에 있는 문장의 설명으로 될 때 쓴다.
 3. 반점,――의미가 중단되여 읽을 때 잠간 쉬는 것이 좋을 때 쓴다.
 4. 반두;――의미가 중단되는 곳에서 반점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이 적당할 때 쓴다.
 5. 의문표?――의문의 뜻을 나타낼 때 그 말의 다음에 쓴다.
 6. 감탄표!――감탄의 뜻을 나타낼 때 그 말의 다음에 쓴다.
 7. 인용표≪ ≫――다른 말을 따다가 쓰는 데 그 말의 앞뒤에 갈라서 쓴다.
 8. 거듭 인용표< >――다른 말을 따다가 쓰는 데 그 안에 또 다시 따온 말이 있을 때 그 앞 뒤에 갈라서 쓴다.
 9. 이음표- ――합성된 단어에서 그 구성 부분을 보이기 위하여 또는 한 단어를 두 줄에 걸쳐 적을 때 쓸 수 있다.
 10. 횡선― ――동격어, 총괄어 또는 삽입어의 앞뒤에, 또는 서술이 중단되거나 생략되였음을 보일 때 쓴다.
 11. 점선.… ――서술이 중단되거나 생략되였음을 보일 때 쓴다.
 12. 괄호.( ), (( )), [ ], { }――어떤 부분을 한 덩어리로 묶을 때 이들을 각각 적당히 쓴다.
  

제6장으로    철자법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