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권의 내용 |
| 문법론에서의 접근 |
| 학습문법항목론 |
| 일본의 한국어 교육문법과 한국의 학교문법 |
| 북한의 한국어 연구 |
| 문장을 둘러싸고 |
| 종합적인 형태와 분석적인 형태 |
| 용언의 활용을 가르치기 위하여 |
| 용언의 접속형과 부사절 |
| 격을 둘러싸고 |
| 부조사 |
| 아스펙트 |
| 시제 |
| 능동과 피동 |
| 모달리티와 서법 |
| 용언의 관형사형과 관형절 |
| 문법적인 오용에서의 접근 |
| 담화론에서의 접근 |
| 대우법과 경어에서의 접근 |
| 스피티레벨 시프트 |
| 언어행동론에서의 접근 |
| 문학텍스트에서의 접근 |
| 한문적 요소를 둘러싸고 |
| 표현양상론 |
| 표현양상론: 명사구조와 동사구조 |
| 표현양상론: 과거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
| 신문에 나타난 의성의태어 |
| 사회언어학에서의 접근 |
| 피판적 사화언어학에서의 접근 |
| 민족어 교육에서의 접근 |
| 고유명사와 호칭 |
| 언어장 이론에서의 접근 |
| 언어장 : 일본어에서 본 한국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