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권의
  내용과 집필자 | 필자(한글) | 필자(한자) | 소속 | 
 
  | <한국어교육론강좌> 간행사 | 노마 히데키 | 野間秀樹 | 동경외국어대학 | 
 
  | 말을 배우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가 | 노마 히데키 | 野間秀樹 | 동경외국어대학 | 
 
  |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재 | 오구리 아키라 | 小栗章 | 국제문화포럼 | 
 
  |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사 | 노마 히데키 | 野間秀樹・中島仁 | 동경외국어대학・東海(도카이)대학 | 
 
  | 한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재 | 민현식 | 閔賢植 | (한국)서울대학 | 
 
  | 국제한국어교육학회의 현재 | 조항록 | 趙恒録 | (한국)상명대학 | 
 
  | 한국어화자가 가르치기 위하여 | 유타니 유키토시 | 油谷幸利 | 同志社(도시샤)대학 | 
 
  | 일본어화자가 가르치기 위하여 | 하세가와 유키코 | 長谷川由起子 | 九州(규슈)産業대학 | 
 
  | 남북간의 언어 차이 | 정희원 | 鄭稀元 | (한국)국립국어원 | 
 
  | 한국어의 방언 문법 | 고동호 | 高東昊 | (한국)全北대학 | 
 
  | 경상도 방언과 서울 방언 | 조의성 | 趙義成 | 동경외국어대학 | 
 
  | 음성학에서의 접근 | 노마 히데키 | 野間秀樹 | 동경외국어대학 | 
 
  | 음운론에서의 접근 | 노마 히데키 | 野間秀樹 | 동경외국어대학 | 
 
  | 형태음운론에서의 접근 | 노마 히데키 | 野間秀樹 | 동경외국어대학 | 
 
  | 음향음성학에서의 접근 | 우쓰기 아키라 | 宇都木昭 | (영국)에딘발라대학 | 
 
  | 한국어 운율론 | 김종덕 | 金鍾徳 | 동경외국어대학 | 
 
  | 문자와 발음의 지도법 | 조의성 | 趙義成 | 동경외국어대학 | 
 
  |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 김진아 | 金珍娥 | 明治学院(메이지가쿠인)대학 | 
 
  | 한국어 정서법과 표준어 | 정희창 | 鄭熙昌 | (한국)국립국어원 | 
 
  | 외래어 표기법 | 나카지마 히토시 | 中島仁 | 東海(도카이)대학 | 
 
  | 기초학습어휘론: 일본어화자를 위하여 | 서상규 | 徐尚揆 | (한국)연세대학 | 
 
  | 한국어의 동사 | 노마 히데키 | 野間秀樹 | 동경외국어대학 | 
 
  | 한국어의 형용사 | 나카니시 교코 | 中西恭子 | (한국)東国대학 | 
 
  | 한국어의 명사 | 이토 히데토 | 伊藤英人 | 동경외국어대학 | 
 
  | 한국어의 의존명사 | 조의성 | 趙義成 | 동경외국어대학 | 
 
  | 한자음 교육법 | 이토 히데토 | 伊藤英人 | 동경외국어대학 | 
 
  |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어 정보의 활용 | 남윤진 | 南潤珍 | 동경외국어대학 | 
 
  | 한국어 사전에서의 가타카나 표기 | 구마타니 아키야수 | 熊谷明泰 | 関西(간사이)대학 | 
 
  | 동형이어 | 유타니 유키토시 | 油谷幸利 | 同志社(도시샤)대학 | 
 
  | 조어론에서의 접근 | 기타무라 다다시 | 北村唯司 | 明治学院(메이지가쿠인)대학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