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판으로

자 기 소 개


이 페이지에는 옛글이 있습니다. 옛글을 보시려면 ‘새굴림’ 글꼴이 필요합니다.


조 의 성 (趙義成, CHO Eui-sung)

소속: 국립 도쿄외국어대학교 외국어학부 언어·정보강좌 (동아시아과정 한국어전공)

전공분야: 한국어학 (현대 한국어 문법, 중세한국어)

소속학회: 【한국】국어학회   【일본】조선학회, 조선어연구회(간사)

약력

1964년  도쿄 태생, 니가타에서 자람

1993년  국립 도쿄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한국어학)

1995년~1999년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박사과정,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에 유학

1999년 04월~2002년 09월  현립 니가타여자단기대학(縣立新潟女子短期大學) 국제교양학과 전임강사(한국의 조교수에 해당)

2001년 04월~2002년 03월  국립 니가타대학교 인문학부 시간강사 겸임

2002년 10월~2008년 03월  국립 도쿄외국어대학교 외국어학부 언어·정보강좌 전임강사

2002년 10월~현재  메이지(明治)대학교 문학부 시간강사 겸임

2008년 04월~2009년 03월  국립 도쿄외국어대학교 준교수(한국의 부교수에 해당)

2009년 04월~현재  국립 도쿄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종합국제학연구원 언어문화부문 준교수


저서 논문 등 학회 발표 기 타


저 서

“月印釋譜(卷一)語彙索引”

(도서출판 박이정, 2002년 3월, 282P, ISBN 89-7878-573-5, 정가 10,000원)

지은이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만든 중세국어 KWIC 색인(문맥 어휘색인). 순방향 색인과 역방향 색인 이외에 접미사(선어말어미) 색인을 덧붙여 연구의 편의를 도모했다. 또 월인석보 본문에는 성조를 중심으로 자세한 주석을 달아 본문의 언어학적 분석도 함께 했다.


― 차 례 ―

일러두기
각주 설명에 관한 주석
月印釋譜 卷一 본문
月印釋譜 卷一 語彙索引 (순방향)
月印釋譜 卷一 語彙索引 (역방향)
月印釋譜 卷一 語彙索引 (접미사)

初刊本『釋譜詳節』統合KWIC索引

(三鈴印刷, 2005년 3월, 1005P)

2004년도 과학연구비 보조금을 교부 받고 이뤄진 연구의 일환으로 작성한 초간본 석보상절의 통합 KWIC 색인으로 석보상절 권6, 9, 13, 19, 23, 24가 수록되어 있다. 두 권짜리이며 제1권은 본문과 순방향 색인, 제2권은 역방향 색인이다.


논문 등

現代朝鮮語の-에서格について(현대 한국어의 격 ‘-에서’에 관하여)

(“朝鮮学報” 第150輯, 朝鮮学会, 1995년 1월, pp.19-72)

이 연구의 목적은 현대 한국어의 격어미인 {-에서}가 현실의 문장에서 어떤 의미로 나타나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에서}의 의미는 현실의 문장에서 처소적인 의미와 기점적인 의미로 대표되는 것처럼 여러 가지 의미로 나타나는데 그 의미들이 실현되는 조건을 {-애서}형 체언의 종류나, {-에서}와의 관련에서 공기하는 단어와 {-에서}와의 관계 등 객관적인 언어사실에 기초해서 분석한다. 분석의 이론적 기초는 러시아 언어학에서 널리 보급되어 있는 "단어결합론"에 의거하는 바가 크다. 또 분석에 있어서는 한국에서 80년대말에서 90년대초에 걸쳐 출판된 소설, 희곡에서 {-에서}의 실제 용례 2500여개를 수집해서 분석하는, 철저한 언어사실주의에 입각한다.

이 연구에 의해 기점적인 의미가 되는 {-에서}는 용언과의 어울림이 강하고 단어결합의 구성소가 되지만, 처소적인 의미가 되는 {-에서}는 용언과의 어울림이 약하며 더 추상화된 것은 비단어결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연구에서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에서}의 관점에서 동사와 명사의 어휘-문법적 분류를 했다는 점이다.

― 차 례 ―

0. はじめに (머리말)
1. 先行研究 (선행 연구)
2. -에서形の体言 ({-에서}형 체언)
3. -에서の実現のされ方 ({-에서}가 어떻게 실현되는가)
4. 非単語結合と-에서 (비단어결합과 {-에서})
5. 単語結合における-에서の統辞論的機能 (단어결합에서 {-에서}의 통사론적 기능)
6. おわりに (마무리)

‘현대한국어의 단어결합에 대하여’

(“朝鮮学報” 第163輯, 朝鮮学会, 1997년 4월, pp.1-36)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820kb, 한국어) NEW!

이 연구는 러시아에서 전개된 단어결합론, 특히 옛 소련 과학 아카데미의 단어결합론에 기초해 현대한국어 단어결합의 설정을 시도한 것이다. 우선 러시아 단어결합론을 분석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 남북한의 문법론과 일본에서의 연구를 간단히 언급한 다음에, 단어결합론을 실제로 현대한국어에 적용해 보고 아울러 이 이론에 입각해서 어떤 문법기술이 가능한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의 고찰에 의해 현대한국어에는 단어결합을 형성하는 다음과 같은 단어부가적 종위적 어울림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a) 객체적 어울림
     b) 주체적 어울림
     c) 규정적 어울림
     d) 상황적 어울림
     e) 보충적 어울림

또 현대한국어 단어결합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음이 밝혀졌다.

     1) 진술성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2) 단어결합 이외의 통사론적 단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
     3) 비단어결합적인 상황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것인가

단어결합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명사의 격이 있는데, 이 연구에서는 단어결합에 기초한 격의 기술방법을 간단히 제시했다.

단어결합론은 격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공헌할 뿐만 아니라 주요 통사론적 단위로서 매우 큰 의의를 가지며, 나아가서는 명사분류와 동사분류 등 어휘분류에도 적지 않은 공헌을 할 것이라 믿는다.

― 차 례 ―

0. 머리말
1. 단어결합이란 무엇인가
2. 딘아부가적 종위적 어울림의 여러 가지 종류
3. 단어결합의 유형
4. 남북한과 일본에서의 단어결합의 연구
5. 현대한국어의 단어결합 설정의 시도
6. 단어결합 설정상의 문제점
7. 단어결합의 적용
8. 마무리

現代朝鮮語の-에格について(현대 한국어의 격 ‘-에’에 관하여)

(“第4回 大阪・アジアスカラシップ活動報告書”, 財団法人大阪国際交流センター, 1996년 8월, pp.15-23)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600kb, 일본어) NEW!

이 연구는 필자의 연구주제인 현대 한국어 격 연구의 일환으로, 위의 연구들의 후편이라 할 만한 것이다. {-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90년대 이후에 한국에서 출판된 소설에서 {-에}의 용례 약 3000개를 추출해서 언어사실에 입각한 분석을 했다. 이론적인 기초는 단어결합론에 있다. 이 연구에서도 {-에}의 관점에서 동사분류를 하고 있다.

― 차 례 ―

0. はじめに (머리말)
1. 単語結合の構成素としての-에格 (단어결합의 구성소로서의 격 {-에})
2. 非単語結合における-에格 (비단어결합에서의 격 {-에})
3. 後置詞を伴った-에格 (후치사를 수반한 격 {-에})
4. 格と見なしがたい-에 (격으로 인정되지 않는 {-에})
5. まとめ (정리)
6. 付・日本語との関係 (부록: 일본어와의 관계)
7. 今後の展望 (앞으로의 전망)
8. 主要参考文献 (주요 참고 문헌)

朝鮮語テクストのコンピュータ処理について――中期朝鮮語KWIC索引作成の場合(한국어 텍스트의 컴퓨터 처리에 관하여 ― 중세 한국어 KWIC 색인 작성의 경우)

(“県立新潟女子短期大学研究紀要第37集, 2000년 3월, pp.153-167)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635kb, 일본어) PDF화!

이 연구는 중세국어의 KWIC 색인(문맥 어휘 색인)을 작성하기 위하여 컴퓨터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한 것이다. 현재 한글 코드체계는 현대국어를 처리하기 위하여 마련되어 있으며 중세국어 처리는 전제로 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중세국어의 처리는 일반 텍스트파일을 이용할 수 없어 많은 경우 중세국어를 표시할 수 있는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해서 중세국어 텍스트를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워드프로세서의 기능만으로는 중세국어 텍스트를 데이터로 처리하는 데 역부족이며 중세국어의 데이터베이스화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세국어 KWIC 색인을 한국 국내의 워드프로세서와 C언어를 이용해서 작성하려는 것이며 독자적인 코드체계를 사용해서 중세국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 중세국어 텍스트 처리에 있어서 경시되어 오던 방점에 대해서도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일부로서 KWIC 색인에 적극 반영시키려고 시도하고 있다.

― 차 례 ―

0. はじめに (머리말)
1. ハングルのコード体系 (한글의 코드 체계)
2. 中期語テクストの入力 (중세어 텍스트 입력)
3. KWIC索引の作成 (KWIC 색인 작성)
4. おわりに (마무리)
附. ユニコードにおける中期語 (유니코드에서의 중세어)

‘북한 단어결합론과 옛 소련 단어결합론 ――60년문법을 중심으로――’

(“國語學” 第38輯, 國語學會, 2001년 12월, pp.305-327)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579kb, 한국어)

북한 문법론에서 1960년과 1963년에 간행된 “조선어 문법 1, 2”(북한 60년문법)는 북한 과학원 창설 이후 최초로 만들어진 문법서로, 북한 문법론의 전체상을 파악하는 데서 중요한 책이다. 이 문법서는 1952년과 1954년에 옛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서 간행된 “러시아어 문법”(소련 60년문법)의 영향을 받았다고 추측되는데, 단어결합론에 관해 고찰하면 “북한 60년문법”은 “소련 60년문법”과 적지 않은 차이점을 찾아낼 수 있다. 특히 “북한 60년문법”의 ‘문장론’편에서는 단어결합론의 중심적 단위인 ‘단어결합’이 인정되지 않았는데 북한이 옛 소련의 단어결합론을 도입하는 데 있어서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북한의 단어결합론은 어디에 문제점이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차 례 ―

0. 들어가기
1. 단어결합의 정의
2. “결합”, “접속”의 하위 구분
3. 단어결합과 문장
4. 단어결합 설정 문제에 관한 논의
5. 마무리

中期朝鮮語アクセント小攷(중세 한국어 악센트 소고)

(“朝鮮語研究1”, 朝鮮語研究会, 2002년 3월, pp.57-64)

본고는 중세한국어의 악센트에 관하여 그 체계의 기술방법에 대해 간단히 고찰하는 것이다. 중세한국어 악센트 체계에 관한 연구는 김완진이 이른바 거성불연삼, 어말거평교체의 현상들을 지적했으며 김성규가 거성불연삼에 어긋나는 악센트 현상을 자세히 고찰했다. 또 일본의 연구에서도 가도와키, 후쿠이 등이 악센트론의 관점에서 고찰을 했다.

본고에서는 일본에서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악센트론의 관점에서 다시 한번 중세한국어 악센트 체계의 기술방법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 차 례 ―

0. はじめに (머리말)
1. アクセント核,モーラ (악센트핵, 모라)
2. 語幹・語尾・接尾辞のアクセント (어간, 어미, 접미사의 악센트)
3. アクセントの変調 (악센트의 변조)
4. 変則的なアクセントのパターンについて (변칙적인 악센트 패턴에 관하여)
5. おわりに (마무리)

朝鮮語

(“言語情報学研究報告4 通言語音声研究 音声概説・韻律分析”,
東京外国語大学大学院地域文化研究科 21世紀COEプログラム‘言語運用を基盤とする言語情報学拠点’,
2004년 10월, pp.27-49; 吳文淑 씨와의 공저, 필두 저자)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837kb, 일본어)

 현대 한국어의 음성, 음운에 관한 개설이다.

― 차 례 ―

1. 朝鮮語の使用地域と人口 (한국어의 사용 지역과 인구)
2. 朝鮮語の規範・方言概略 (한국어의 규범, 방언 개략)
3. 朝鮮語の文字と発音 (한국어의 문자와 발음)
4. 朝鮮語の音節 (한국어의 음절)
5. 朝鮮語の母音と子音 (한국어의 모음과 자음)
6. 朝鮮語のプロソディー (한국어의 운율)
7. 音象徴 (음상징)

‘후기 중세 한국어의 {-애}에 대하여 ―단어결합론의 관점에서―’

(“朝鮮学報” 第201輯, 朝鮮学会, 2006년 10월, pp.1-38)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835kb, 한국어)

이 연구는 후기 중세 한국어의 {-애}가 문장 속에서 어떤 의미로 실현되는가를 밝힌 것이다. 용례는 “석보상절”과 “월인석보” 초간본에서 수집했으며 수집한 모든 용례에 대해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은 단어결합론에 의거하여 아래와 같은 점에 착안했다.

a) {-애}형 체언은 어떤 종류인가

b) 단어결합에서 {-애}형 체언을 종속시키는 주도어가 무엇인가

c) 주도어가 {-애} 이외에 다른 종속어를 요구할 수 있는가

d) {-애}를 다른 격 형태로 대치할 수 있는가

e) {-애}에 해당되는 부분이 저경(底經)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 결과, 후기 중세 한국어의 {-애}를 서른한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그와 함께 {-애}의 관점에서 약간의 동사분류도 시도했다.

또 의미 기술에 앞서 {-애}의 형태와 악센트에 관해서도 간단히 언급했으며 마지막으로 현대 한국어의 {-에}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간결히 언급했다.

― 차 례 ―

1. 들어가기
2. {-애}형 체언
3. {-애}의 의미 분류
4. 단독으로 의미를 가지지 않는 {-애}
5. 마무리

慶尚道方言とソウル方言(경상도 방언과 서울 방언)

(“韓国語教育論講座第1巻, くろしお出版, 2007년 4월, pp.203-219)

본고는 경상(남)도 방언과 서울 방언의 차이에 대해 개설한 것이다. 음성과 음운, 문법, 어휘에 관해 경상도 방언이 서울 방언과 어떻게 다른지 기술했다.

― 차 례 ―

1. はじめに (머리말)
2. 音韻体系と音声 (음운 체계와 음성)
3. 音韻変化 (음운 변화)
4. 文法 (문법)
5. 語彙 (어휘)
6. 終わりに (마무리)

文字と発音の指導法(문자와 발음의 지도법)

(“韓国語教育論講座第1巻, くろしお出版, 2007년 4월, pp.371-386)

본고는 일본어를 모어(母語)로 하는 입문기 학습자에게 어떤 문자 지도, 발음 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논한 것이다.

― 차 례 ―

1. はじめに (머리말)
2. 母音の指導 (모음 지도법)
3. 子音(初声)の指導 (초성 자음 지도법)
4. 終声の発音指導 (종성 자음 지도법)
5. 音変化の指導 (음운 변화 지도법)
6. ピッチの指導 (높낮이 지도법)
7. おわりに (마무리)

不完全名詞をめぐって(불완전 명사에 관하여)

(“韓国語教育論講座第1巻, くろしお出版, 2007년 4월, pp.553-573)

본고는 한국어의 불완전 명사(의존 명사)에 대해 개관하며 불완전 명사를 한국어 학습에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 차 례 ―

1. はじめに (머리말)
2. 一般不完全名詞 (일반 불완전 명사)
3. 名数詞 (명수사)
4. おわりに (마무리)
【附1】主要な一般不完全名詞の一覧 (주요 일반 불완전 명사 일람)
【附2】主要な名数詞の一覧 (주요 명수사 일람)

『訓民正音』からの接近(훈민정음으로부터의 접근)

(“韓国語教育論講座第4巻, くろしお出版, 2008년 1월, pp.401-418)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한 문자이다. 한글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데서 한국어라는 언어 자체와 끊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이 문자의 내력을 아는 것은 한글이라는 문자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뿐 아니라 당시의 학자들이 한국어라는 언어를 어떻게 파악했느냐를 알 수 있어 아주 흥미롭다. 본고에서는 훈민정음의 내용을 정리하며 한글 제자 원리와 제자 의도를 개관한다.

― 차 례 ―

1. はじめに (머리말)
2. 訓民正音の創製と頒布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
3. 書誌 (서지)
4. 制字原理 (제자 원리)
5. 制字思想 (제자 사상)
6. 文字の使用法 (문자 사용법)
7. おわりに (마무리)

文献解題:中期朝鮮語・近世朝鮮語(문헌 해제: 후기 중세 한국어, 근대 한국어)

(“韓国語教育論講座第4巻, くろしお出版, 2008년 1월, pp.499-514)

본고는 한국어사에 관련된 문헌 중 후기 중세 한국어와 근대 한국어에 관한 주요 문헌을 소개한다.

― 차 례 ―

1. はじめに (머리말)
2. 総合 (종합)
3. 辞典 (사전)
4. 音韻 (음운)
5. 文法 (문법)
6. 文献注釈・文献解題 (문헌 주석, 문헌 해제)
7. 語彙索引など (어휘 색인 등)
8. インターネット資料 (인터넷 자료)
9. おわりに (마무리)

ハングルの誕生と変遷(한글의 탄생과 변천)

(“東洋文化研究”, 学習院大学東洋文化研究所, 2009년 3월, pp.479-496)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981kb, 일본어) NEW!

2008년 10월에 진행된 동양 문화 강좌 강연회 발표 내용을 논문으로 만든 강연록이다.

― 차 례 ―

0. はじめに (머리말)
1. ハングル以前の朝鮮半島の文字生活 (한글 이전의 한반도의 문자 생활)
2. ハングルの創製 (한글의 창제)
3. ハングルの製字原理と製字思想 (한글의 제자 원리와 제자 사상)
4. 『訓民正音』に見る文字の使用法 (“훈민정음”에 나타난 문자 사용법)
5. ハングルの実用 (한글의 실용)
6. 現代のハングル (현대의 한글)
7. おわりに (마무리)

月印釈譜巻七の割注の底本について(월인석보 권7 협주의 저본에 대하여)

(“朝鮮語史研究”,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009년 10월, pp.39-52)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1067kb, 일본어) NEW!

월인석보 본문의 저본에 대해서는 지난날에 많이 논의되어 왔으나 협주 부분에 관해서는 여태까지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이번에 월인석보 권7에 관해 본문과 협주를 자세히 조사해 본 결과, 협주의 저본이 적지 않게 판명되었다. 본고는 그것을 보고하며 아울러 약간의 검토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 차 례 ―

1. はじめに (머리말)
2. 月印釈譜について (월인석보에 대하여)
3. 月印釈譜巻七の長型割注とその底本 (월인석보 권7의 장형 협주와 그 저본)
4. 底本の書誌について (저본의 서지에 대하여)
5. おわりに (마무리)

起点的意味を表す中期朝鮮語の諸形式について(기점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세국어의 형식들에 대하여)

(“朝鮮半島のことばと社会――油谷幸利先生還暦記念論文集”, 油谷幸利先生還暦記念論文集刊行委員会, 2009년 11월, pp.187-213)

본고의 목적은 중세국어에서 기점적 의미를 나타내는 형식들이 어떻게 사용되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형식들이 어떠한 기점적 의미를 나타내는지 단순히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통사론적 관점에서 분석을 한다. 문장 중에서 단어 사이의 관계는 단어결합론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 차 례 ―

1. はじめに (머리말)
2. 先行研究 (선행연구)
3. 各形式における起点的意味 (각 형식에서의 기점적 의미)
4. 諸形式の置き換えと起点的意味 (각 형식의 대치와 기점적 의미)
5. おわりに (마무리)

학회 발표 등


‘15세기 국어의 성조 체계에 대하여―액센트론의 관점에서―’

(국어학회 제26회 국어학회 공동 연구회, 1999년 12월)
(학회 창립 40주년 기념 제26회 국어학회 공동연구회 발표논문집, pp.210-225)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525kb, 한국어) PDF화!

이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소위 ‘성조’체계를 악센트론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15세기 국어 성조의 본질은 악센트이며 악센트핵은 상승핵이다.

   얼굴 ○○  하・ ○「○  ・구・룸 「○○

또 ‘거성불연삼’, ‘어말 거평교체’라고 불린 현상은 비음운론적 차원에서 실현되는 교체로, 음운론적 차원인 악센트핵과 차원을 달리한다는 것을 밝혔다.

용언은 어기활용에 따라 악센트핵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은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접미사도 마찬가지로 어기활용에 따라 악센트핵의 위치가 바뀔 수 있음을 밝혔다.

-더-
--
I/II
I/II
・더
「○
  IV ・다
  IV ・노
「○
「○

이 연구에서는 악센트의 경계로서 ‘강한 경계’와 ‘약한 경계’를 설정했다. 강한 경계란 매개 악센트절에서 고유한 악센트가 유지되는 데 반해 약한 경계에서는 어말 거평교체가 일어나 고조의 연속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음을 밝혔다. 약한 경계는 두 개 악센트절의 경계가 모호해져 하나의 악센트절로 통합되는 과정에 있다고 보고 자립어의 문법화와도 관련이 있음을 언급했다.

  강한 경계    ・스・러//・디거・늘 「○○//「○○○ = 고고//고저고
  약한 경계    ・우리/・ 「○○/「○○ = 고저/고고

共和国の単語結合論と旧ソ連の単語結合論―60年文法を中心に(북한 단어결합론과 옛 소련 단어결합론 ――60년문법을 중심으로)

(第171回 朝鮮語研究会, 2000년 11월 28일)

마우스 오른쪽 클릭 후 ‘다른 이름으로 대상저장’ 석택 → 논문 다운로드 (PDF 파일, 678kb, 일본어) PDF화!


ハングルの誕生と変遷(한글의 탄생과 변천)

(東洋文化講座シリーズ〈アジアの文字文化〉(동양문화강좌 시리즈 ‘아시아의 문자문화’)第69回, 学習院大学東洋文化研究所, 2008년 10월 10일)

강연록은 여기를 참조.

이 발표에서는 한국의 문족 문자인 한글에 관해 창제까지의 경위와 창제 이후의 변천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개관했다.

‘재일교포의 민족어 교육과 언어 사용 양상’

(국립국어원・한국어교육학회 공동 국제학술회의 남북 국어교육 및 해외 민족어 교육, 한국어교육학회 제268회 학술대회, 2009년 11월 28일)

이 발표에서는 두 가지 사항에 관해 언급했다. 하나는 재일교포의 민족어 교육이 어떻게 이뤄져 왔는지, 현재의 민족어 교육이 어떤 상황인지에 관한 언급이다. 또 하나는 모어가 일본어인 재일교포가 어떤 민족어를 사용하는지, 또 일상생활에서 일본어와 혼용되는 한국어 어휘에 대한 언급이다.


대문으로